검찰, ‘곽상도 50억 클럽 의혹’ 하나금융지주 등 압수수색

곽상도 전 의원의 ‘50억 클럽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26일 하나금융지주에 대한 압수 수색에 나섰다. 곽 전 의원의 뇌물 및 알선수새 혐의에 대한 1심 무죄 판단 이후 검찰이 하나금융 본사 압수수색을 한 것은 처음이다.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뉴스1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뉴스1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 강백신)는 곽 전 의원과 아들 곽병채씨 등에 대한 범죄수익 은닉, 뇌물 등 혐의와 관련해 이날 오전 하나금융지주와 하나은행 금융투자센터 사무실 등에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검찰은 2014~2015년 대장동 민간사업자들이 성남의뜰 컨소시엄을 구성할 당시 산업은행 컨소시엄 측이 하나은행을 성남의뜰 컨소시엄에서 이탈하도록 하자, 곽 전 의원이 영향력을 행사해 이를 막아준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성남의뜰이 대장동 개발 사업권을 따내자 그 대가로 곽 전 의원의 아들 병채씨가 화천대유에 취업해 퇴직금 등 명목으로 50억원(세후 25억원)의 뇌물을 곽 전 의원 대신 받았다는 것이다.

검찰은 곽 전 의원의 알선수재·뇌물 혐의에 대한 1심 무죄 판결 이후 보강수사에 착수했다. 이후 검찰이 하나금융 본사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곽 전 의원에 대해서는 범죄수익은닉규제법 혐의, 곽병채씨는 특가법상 뇌물 혐의의 공범으로 보고 수사를 이어왔다.

앞서 2021년 대장동 사건을 수사했던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곽상도 전 의원의 자택과 하나은행 본점 등을 압수 수색한 바 있다. 그러나 1심 무죄 이후 검찰은 대장동 사업 과정에서 곽 전 의원의 역할과 아들 병채씨가 받은 퇴직금 50억원의 대가성을 입증할 추가 증거 확보에 주력해왔다.

관련 기사

검찰은 이날 회장실과 금융투자센터 사무실 등에서 대장동 사업 공모 당시 내부 의사결정 과정과 컨소시엄 관련 보고·검토 문건과 대장동 개발 사업 관련 자료 등을 확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수사팀은 하나은행 본점 압수 수색 당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관련 부서를 대상으로 관련 자료를 확보했었다.

검찰은 앞서 김정태 전 하나금융 회장의 주거지를 압수 수색하고, 지난 18일과 23일 각각 김 전 회장,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을 소환 조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관련자 조사를 진행한 뒤 곽 전 의원 부자를 소환할 방침이다.

관련시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