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안심주택 임대료 낮추고 2030년까지 12만호 공급한다

서울시가 청년주택 임대료를 낯추고 2030년까지 총 12만호를 공급한다.
서울시는 4일 기존 ‘역세권청년주택’ 제도를 개편한 청년안심주택 제도를 발표했다. 공급 물량을 대폭 늘리고 임대료·관리비 부담을 낮춰 청년 주거비 부담을 줄이는 내용을 담았다.
역세권청년주택은 서울시가 매입한 지하철역 근처 주택을 청년들에게 저렴하게 빌려주는 제도다. 지난 2017년부터 시작해 현재 1만2000호가 운영 중인데,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살 수 있다보니 청년층에게 인기가 높았다.
서울시는 청년 수요에 맞춰 기존 6만5000호 목표였던 공급 물량을 2030년까지 12만호로 두 배 가까이 늘리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주거 불안정에 시달리는 청년층 사이 호응이 높았다”며 “12만호 공급이 완료되면 청년 주거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더 많은 지역에서 청년주택을 운영하기 위해 건설 부지 선정 조건도 완화했다. 기존엔 반경 350m미터 안에 지하철이 있는 장소에만 청년주택을 지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간선도로 반경 50m안에만 위치하면 청년주택 건설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지역에 따라 제각각이고 비싸다는 지적이 많았던 임대료도 낮추기로 했다. 기존 역세권청년주택은 주변 시세의 85%~95%수준의 임대료를 받고 있다. 개편된 청년안심주택은 여기에서 10%p를 더 낮춰 임대료를 시세의 75%~85% 수준으로 책정하도록 했다. 임대료는 청년주택운영자문위원회를 통해 책정한다. 또 시는 관리비를 절감하기 위해 일부 청년안심주택 내 주차장을 유료로 개방해 그 수익을 활용할 계획이다.
최소 가구 면적 기준도 기존 20㎡에서 23㎡로 소폭 늘렸다. 마감재를 고급화하고 공모제를 통해 건축 디자인을 선정하는 등 미관에도 신경써 청년들 수요를 맞춘다는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는 현재 서울 송파구 장지역 인근에 있는 청년안심주택 지원센터를 용산구로 옮겨 접근성을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