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없이 격차만 확인한 WBC, 다가올 AG와 APBC는 어쩌나

10일 오후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B조 1라운드 대한민국과 일본의 경기, 4대13 대패를 당한 대표팀 선수들이 관중석에 인사 후 그라운드를 빠져나가고 있다. 2023.3.1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10일 오후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B조 1라운드 대한민국과 일본의 경기, 4대13 대패를 당한 대표팀 선수들이 관중석에 인사 후 그라운드를 빠져나가고 있다. 2023.3.1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한국 야구대표팀이 3회 연속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4강 진출’을 외쳤던 것이 무색할한큼 무기력한 경기력 끝에 조기 탈락의 굴욕을 피하지 못했다.

한국은 13일 오후 7시 열리는 2023 WBC 본선 1라운드 B조 마지막 경기인 중국전 결과에 상관없이 탈락이 확정됐다. 이날 정오부터 시작된 B조 또 다른 경기에서 호주가 체코를 꺾고 2위를 확정하면서 한국의 마지막 희망은 사라졌다.

이번 WBC는 세계 야구와의 격차만 확인한 대회로 남았다.

설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얻은 것이 있다면 위안을 삼을 수 있지만, 이번 WBC에서는 성적, 세대교체 등 무엇 하나 제대로 이룬 것이 없었다.

반드시 잡아야했던 호주와의 1차전에서 7-8 충격패를 당한 한국은 숙명의 라이벌전 일본과의 경기에서 4-13이라는 망신을 당했다. '세미 프로' 체코를 상대로 첫 승(7-3)을 따냈지만 마운드가 흔들리며 깔끔한 경기를 펼치지 못했다.

KBO리그에서 최고라고 자부하는 선수들을 모아 야심차게 '4강 진출'을 외쳤지만 돌아온 건 조기 탈락 수모였다. 국제 대회만 나서면 힘을 쓰지 못하는, '우물 안 개구리'인 한국 야구의 민낯만 여실히 드러났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9일 오후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B조 1라운드 대한민국과 호주의 경기에서 7대8로 패배한 대표팀 선수들이 고개를 떨구며 그라운드를 빠져나가고 있다. 2023.3.9/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9일 오후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B조 1라운드 대한민국과 호주의 경기에서 7대8로 패배한 대표팀 선수들이 고개를 떨구며 그라운드를 빠져나가고 있다. 2023.3.9/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당장 올해 9월 열리는 항저우 아시안게임(AG)과 11월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 준비에도 비상이 걸렸다.

두 대회 모두 출전 나이 제한 규정이 있다. 이번 AG의 경우 만 25세 이하(1998년생 이후 출생) 또는 프로 입단 4년 차 이하 선수들로 대표팀을 구성하고, APBC는 24세 이하 선수들이 출전한다. 한국 야구의 미래를 책임질 젊은 선수들이 주축을 이룬다.

대회가 열리는 시기 상 AG에 나선 선수 중 두각을 보인 선수가 APBC에도 출전할 가능성이 높다. 대표팀 세대교체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대회가 될 전망이다.

다만 WBC 참사로 한국 야구의 암담한 현실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상황에서 앞으로 열릴 두 대회의 성공도 장담할 수 없다. 그동안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체로 여겨졌던 국가들의 수준이 한층 올라갔음이 WBC를 통해 증명됐기 때문이다. AG과 APBC 모두 참가국이 아시아로 한정되지만 더 이상 한국이 만만히 볼 팀은 없다.

이전보다 더욱 빠르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현재 일본 야구대표팀을 이끌고 있는 구리야마 히데키 감독은 한국 전력 분석을 위해 지난해 10월 직접 잠실 구장을 방문, 주요 선수들을 눈에 담았다. 이런 조그마한 차이들이 모여 상반된 결과를 만들어냈다. 한국 야구가 참고해야할 부분이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겠다’는 한국 대표팀의 다짐은 WBC 실패로 더 큰 위기를 초래했다. 그리고 충격파를 씻어낼 여유도 없이 곧장 AG과 APBC가 찾아온다. 각성과 빠른 준비 없이는 참패만 반복될 뿐이다. 한국은 더 이상 ‘야구 강국’이 아니다.

관련시키다